Hot
-
System.out.println 메소드는 실무에서 `절대 사용하지마라.`
목차개요System.out.println 무엇인가?왜 사용해서는 안되는가?로그를 남기면 안되는 것인가?결론1. 개요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면 System.out.println(”Hello World”);같이 콘솔에 출력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아마 모든 개발자들은 검정바탕에 'Hello World'를 다 알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기능 구현을 하면 원하는 값이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출력을 하는 경우 종종 사용한다. 그러나, 실무에서 System.out.println을 절대 사용을 하면 안된다. 그 이유를 아래에서 차근차근 알아보자.2. System.out.println 무엇인가?System.out.println은 Java개발할때 디버깅 용도로 콘솔에 출력하는 메소드 중 하나다.System은 j..
2023.03.21
-
테이블마다 id 칼럼을 PK로 사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목차개요설계 테이블사용한 이유와 장점결론1. 개요프로젝트 테이블을 설계하고 리뷰를 받는중 아래와 같은 질문을 받았다.Q) 각각의 테이블에 auto increment 되는 id 칼럼을 사용한 이유와 했을때의 장점이 무엇인가요?A) 어,,, 엄,,, 관용적으로 많이 사용해서 자연스럽게 id를 PK로 사용했습니다. 질문을 받은 나는 대답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고 테이블을 왜그렇게 설계했는지보단 관용적으로 이렇게 많이들 사용한다고 해서 자연스럽게 테이블을 설계했던 것이었다. '설계를 왜 이렇게 했는가?' 에 대해서 고민하고 설계를 해야 하는데 이번을 계기로 많은 사람들이 왜 id칼럼을 auto increment가 되는 칼럼으로 사용했을때 장점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2. 설계 테이블내가 설계한 테이블은 위와..
2024.02.14
-
[TroubleShooting] 메모리 중요정보 노출 취약점 개선방안
목차개요취약점 파악개선방안결론1. 개요안드로이드 업무에서 보안점검을 받던 중, 앱에서 중요정보가 메모리에 남는다는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중요 정보는 `신분증 이미지`였는데,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으로 GC가 일어나면 사라질 정보였었다. 하지만, GC가 언제 일어 날지 모를뿐더러, 이런 민감정보(신분증 이미지 뿐만 아니라 계좌정보나 고객의 연락처 등 개인정보)를 사용함에 있어서 주의가 항상 필요했다. 내가 맡은 애플리케이션은 금융앱이라 난독화나 여러가지 보안 솔루션이 있지만, 안심해서는 안된다. 이런 중요 정보들은 사용하지 않는다면, 메모리에 남아 있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어떤 문제점이 있었고 해결은 어떻게 했는지 작성해보려고 한다.2. 취약점 파악..
2024.03.07